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시험
- 랜섬웨어
- 사이버보안
- 정리
- 공부
- Database
- graph
- 사이버 보안
- 정보보안기사
- neo4j성능
- 프로그래밍
- cypher
- 위협 탐지
- 정보보안
- SQLD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 concurrency
- 데이터모델링
- Neo4j
- 그래프데이터베이스
- 자격증
- 보안 분석
- security
- 보안솔루션
- 해킹
- Golang
- IT보안
- GraphDB
- go
- 보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7)
Jamie the programmer

사이버보안 도구들은 각기 다른 언어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SIEM, 방화벽, 엔드포인트 보안 시스템이 서로 다른 형식의 로그를 출력하면 분석가는 40% 이상의 시간을 데이터 정규화에 할애해야 합니다. Open Cybersecurity Schema Framework(OCSF)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오픈소스 표준입니다. 이 글에서는 OCSF의 개념, 장점, 실제 구현 방법(Go 언어 예시 포함), 스키마 JSON 구조까지 총체적으로 다룹니다. 1. OCSF란 무엇인가?문제: 사이버보안의 ‘바벨 탑’도구 간 호환성 부재: 각 솔루션의 독자적 데이터 형식으로 통합 어려움.비효율적 운영: 분석가의 시간이 위협 분석 대신 데이터 파싱에 소모됨.느린 대응 속도: 수동 매핑으로 인한 지연.해결책: OCS..

사이버 보안에서 IoC (Indicators of Compromise)는 디지털 세계의 범죄 현장에 남겨진 "증거"와 같습니다. 공격자가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침해했을 때 남기는 다양한 흔적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IoC를 잘 활용하면 공격을 조기에 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1. IoC란 무엇인가?IoC는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서 보안 위반이나 악성 활동의 증거를 나타내는 단서입니다. 침해 사고 발생 시 이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데 활용되며, 공격자의 흔적을 탐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2. IoC의 다양한 유형과 예시IoC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유형별로 다양한 예시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기반 IoC악성 IP 주소, 도메인, URL: 공격자가 명령 제어..

✍️ "내 코드, 어떻게 공유해야 할까?" 오픈소스 라이선스 A부터 Z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1.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뭐죠?오픈소스 라이선스는 남의 코드를 사용하거나 수정할 때 지켜야 할 규칙입니다.예를 들어, "이 코드를 쓰려면 원작자 이름을 밝혀라" 또는 "수정한 코드도 공개해라" 같은 조건을 정해 놓은 것이죠.잘못 선택하면 법적 분쟁이 생길 수 있으니 꼭 이해하고 선택하세요! 2. 핵심 용어 3초 만에 이해하기카피레프트 (Copyleft):"내 코드를 쓰면 너의 코드도 공개해야 해!"예시: GPL 라이선스 → 강한 카피레프트. 코드 일부만 사용해도 전체 프로젝트 공개 의무.특허 조항:"내 코드를 쓰다가 특허 문제 터지면 나도 보호해 줄게!"예시: Apache 2.0 → 특허 소송 시 라이선스 ..

"보안은 전문가만 할 수 있는 복잡한 일이다" – 이런 생각, 이제 버려보세요!해커들은 매일 새로운 방법으로 우리의 네트워크를 노립니다.하지만 놀랍게도, 그들도 피하고 싶어하는 '침투하기 귀찮은 네트워크'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해커들은 방어막이 단단한 네트워크보다 빠르게 뚫을 수 있는 쉬운 목표를 찾아다닙니다."이 글에서는 해커들이 직접 밝힌 '뚫기 싫은 네트워크의 비밀'을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알려드립니다.복잡한 기술 용어 없이, '이것만 해도 해커가 움찔하는' 실전 보안 전략을 소개합니다.당신의 네트워크를 '해커가 포기하게 만드는 철벽 방어망'으로 바꾸는 방법, 지금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볼까요? 🛡️"그럼 해커들이 가장 경계하는 5가지 네트워크 특징, 첫 번째 이야기로 들어가보겠습니다!"1..

보안의 핵심 허브, SOC(Security Operations Center)의 역할과 중요성최근 사이버 위협이 복잡해지고 빈번해지면서, 기업과 조직은 보안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SOC(Security Operations Center)는 현대 보안 운영의 핵심 허브로 자리매김하며 위협 대응의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OC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SOC란 무엇인가?SOC는 조직의 IT 인프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이버 위협을 탐지·분석·대응하는 전문 보안 조직입니다. 24/365 운영을 원칙으로 하여 해킹, 랜섬웨어, 데이터 유출 등 다양한 보안 사고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최근 기업들의 보안 운영 센터(SOC: Security Operations Center)는 단순한 경고 대응을 넘어 적극적인 위협 추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현재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고민이 여전히 많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협 헌팅의 핵심 개념과 조직의 헌팅 역량 평가 방법을 sqrrl의 프레임워크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위협 헌팅이란?"기존 보안 솔루션으로 탐지되지 않는 고급 위협을 능동적으로 찾아내는 과정"기존의 수동적 대응(Alert-Driven)을 탈피해, 보안 분석가가 주체가 되어 네트워크·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탐색하며 위협을 사전에 차단합니다. 공격자의 잠복 행위, 데이터 유출 시도, 비정상 패턴 등을 추적하는 것이 핵심입니..

1. CISA KEV란?CISA(미국 사이버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는 '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KEV)' 카탈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KEV는 이미 공격자들에 의해 실제로 악용된 보안 취약점(Known Exploited Vulnerabilities)을 의미한다. 이 목록은 단순히 높은 심각도를 가진 취약점이 아니라, 공격자들이 현실에서 적극적으로 악용하고 있는 취약점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패치하는 것이 중요하다.CISA KEV 카탈로그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CISA KEV 카탈로그2. "Exploited in the Wild"란?보안 분야에서 "Exploited in the Wild(ITW)"란, 특정 보안 취약점이 실제 공격에 사용되고 있다는 ..

바이러스와 웜의 차이점: 정보보안기사 시험 대비정보보안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바이러스와 웜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것입니다. 두 용어는 모두 악성 코드의 일종으로 자주 혼용되지만, 실제로는 그 특성과 동작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바이러스와 웜의 차이점을 쉽게 설명하고, 정보보안기사 시험에서 다루어질 주요 개념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바이러스(Virus)란 무엇인가?바이러스는 자기 복제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이나 파일에 감염되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악성 코드입니다. 바이러스는 보통 사용자가 특정 파일을 실행하거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활성화됩니다. 주로 파일을 감염시키며, 감염된 파일이나 프로그램이 다시 실행될 때 다른 시스템이나 ..